森羅萬象
-
자식 사랑 호르몬정보얻기/네이버 과학 2010. 1. 23. 22:08
한 여인이 풀어헤친 머리에 벗은 발로 들판을 헤매고 있었다. 정신을 반쯤 놓아버린 채 누군가의 이름을 애처롭게 부르는 그녀는 뜻밖에도 데메테르였다. 원래 데메테르는 만물의 어머니이자 대지의 여신인 당당한 지모신(地母神)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목숨처럼 귀히 여기던 딸을 잃어버린 슬픔에 반쯤 정신이 나가버린 가엾은 어미일 따름이었다. 미친 듯이 들과 산을 헤매던 데메테르는 우연히 땅의 갈라진 틈에서 딸 페르세포네가 하고 있던 허리띠를 발견했다. 이는 페르세포네의 아름다움에 반한 명부의 왕 하데스가 대지를 갈라 그녀를 지하세계로 납치해가는 와중에 떨어뜨린 것이었다. 그제야 딸이 명부에 있음을 깨달은 데메테르는 분노해 외쳤다. “천하에 다시없는 배덕하고 잔인한 대지여. 내 너에게 은혜를 베풀어 만물을 소생케 하..
-
헬리콥터 꼬리 날개가 필요한 이유. 각운동량 보존법칙정보얻기/네이버 과학 2010. 1. 23. 22:06
회전운동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물리현상이다. 밤새 째깍째깍 돌아가던 시곗바늘은 때가 되면 우리를 깨운다. 생과일주스를 만드는 믹서기는 날카로운 칼날을 돌려 과일을 으깬다. 전동칫솔은 둥그런 칫솔을 연방 돌린다. 길거리에 나서면 수많은 자동차가 쉴 새 없이 네 바퀴를 굴려댄다. 케이블을 감아올리면 우리는 그 끝에 매달린 엘리베이터를 타고 사무실로 올라간다. 태양은 동에서 서로 어김없이 돌고 있고 우리가 발붙이고 사는 지구도 하루에 꼭 한 바퀴를 돈다. 쳇바퀴 같은 우리 일상도 그렇게 돌아간다. 물리 법칙이 방향에 따라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각운동량이 보존된다 운동량 보존법칙에 대한 글에서 보았듯이 직선 운동에서는 운동량(혹은 선운동량)이 보존되는 양이다. 이런 선운동량이 보존되는 이..
-
나노 기술의 미학 나노 벽돌정보얻기/네이버 과학 2010. 1. 23. 22:03
총알도 뚫지 못하는 단단한 재료를 개발하는 과학자들에게 전복만큼 흥미로운 소재는 없다. 전복 껍질은 트럭이 밟고 지나가도 깨지지 않을 정도로 강하다. 그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 먼저 전복 껍질의 성분을 보자. 95% 이상이 탄산칼슘(CaCO3)으로 구성돼 있다. 분필의 성분 역시 대부분이 탄산칼슘이다. 그런데 분필은 손에 조금만 힘을 줘도 잘 부러진다. 왜 비슷한 성분으로 이뤄진 전복 껍질과 분필은 강도에서 이렇게 큰 차이가 날까. 과학자들은 그 해답이 전복 껍질만의 독특한 구조에 있을 것이라고 짐작했다. 그래서 전복 껍질을 부수고 그 미세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물론 웬만한 힘으로 잘 부서지지 않을뿐더러 구조의 특징을 알 수 있도록 깔끔한 사진이 나오기란 힘들다. 하지만 많은 실험 끝에 마침내..
-
끝없는 세계의 신비, 우주, 무한 공간정보얻기/네이버 과학 2010. 1. 23. 22:00
우주는 우리가 볼 수 있는 것보다 훨씬 큽니다. 우리가 아는 우주에서는 이 크기가 중요한 의미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엄청난 사이즈의 태양계부터 그보다 훨씬 큰 은하계, 끝도 없이 펼쳐져 있는 우주 공간의 광활함이란 실로 상상을 초월합니다. 또 정반대로 아주 작은 분자와 만물을 구성하는 지극히 작은 원자도 있습니다. 이렇게 양 극단의 크기가 다 모인 공간이 바로 우주입니다. 아직 우주의 전체 크기를 알지 못하지만, 이 광활한 우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학자들은 정반대로 가장 작은 원자와 그 안의 미립자들을 연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오늘은 가장 가까운 우리 태양계 행성들의 크기와 은하계 너머 지금껏 한 번도 보지 못한 물체의 크기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태양계 행성들의 크기와 위치 컬럼비아 대학의 천문..
-
디락의 방정식 속에 숨겨진 심오한 비밀정보얻기/네이버 과학 2010. 1. 23. 21:59
지난 글에서는 디락이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결합하여 디락 방정식을 만들었다고 하였다. 전자가 빛의 속도에 가깝게 매우 빨리 움직이면, 기존의 슈뢰딩거 방정식으로는 부족하고 상대론을 결합한 디락 방정식을 따라야 한다. 그러나 이 디락 방정식은 양의 에너지(E≥mc2) 이외에도 음의 에너지(E≤mc2)가 가능하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락은 자신의 이론을 포기하지 않고 오히려 거기서 우주의 심오한 비밀을 발견하게 된다. 이제 그 비밀을 본격적으로 파헤칠 시점이 되었다. 디락의 방정식 속에 숨겨진 심오한 비밀 우선 준비 작업으로 지난 글(반물질이 존재한다고? 2009.12.25)에서 다음 두 가지 사실을 설명한 바 있다. 1. 전자는 같은 상태에 여러 개가 있을 수 없다는 파울리의 배타원..
-
전개도, 입체도형을 평면 위에 펴 놓은 그림정보얻기/네이버 과학 2010. 1. 23. 21:55
입체도형의 전개도는 입체도형을 한 평면 위에 펴 놓은 그림이다. 전개도는 3차원 물체를 2차원 평면에 나타내기 때문에 평면과 공간 사이의 관계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한 입체도형의 전개도는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그 입체도형의 전개도가 몇 가지인지 알아내는 것은 흥미로운 수학 가운데 하나이다. 여기서는 정육면체의 전개도에 대하여 알아보자. 전개도, 입체도형을 평면 위에 펴 놓은 그림 아래 두 개의 그림 가운데 정육면체의 전개도는 어떤 것일까? 윗 그림 중 왼쪽 그림이 정육면체의 전개도라는 것은 이미 잘 알고 있다. 그렇다면 오른쪽 그림도 정육면체의 전개도일까? 만일 그렇다면, 또 다른 전개도가 있을까? 있다면 과연 서로 다른 모양의 전개도는 몇 개일까? 정육면체의 전개도는 몇 가지일까? 이제부터 ..
-
인간의 뇌는 3층이다.정보얻기/네이버 과학 2010. 1. 23. 21:51
인간의 뇌는 크게 세 부분(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부위인 1층은 뇌의 가장 밑바닥에 있는 후뇌(뒤뇌)로, 뇌줄기(뇌간)와 소뇌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흡∙심장 박동∙혈압 조절 등과 같은 생명 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래서 이를 ‘생명의 뇌’ 또는 ‘파충류 뇌’라고 부른다. 인간의 뇌는 3층이다. 1층은 생명의 뇌, 2층은 감정의 뇌, 3층은 이성의 뇌 두 번째 부위는 후뇌 바로 위에 있는 중뇌(중간 뇌)다. 중뇌는 위아래로 모든 정보를 전달해 주는 중간 정거장 역할을 하며, 감정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포유류들이 흥분과 공포로 울부짖거나 으르렁거리며, 움츠리기도 하고 꼬리를 흔들며 애정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러한 감정적 행동을 담당하는 이 부분이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인간 뇌에..
-
이렇게 찍을 수도 있을까?여행/볼거리 2010. 1. 22. 16:23
An amateur star-gazer has stunned astronomers around the world with these amazing photographs of the universe - taken from his garden shed. Peter Shah, 38, cut a hole in the roof of his wooden shed and set up his modest eight-inch telescope inside. After months of patiently waiting for the right moment, he captured a series of striking images of the Milky Way from the comfort of his own back g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