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lowner
2010. 1. 12. 10:47

감기는 큰 병은 아니지만 가벼이 넘길 수 있는 병도 아닙니다. 오죽하면 만병의 근원이라고 불릴까요. 감기에 걸리면 가장 푹 쉬는 게 가장 좋지만 현대인들은 쉬기가 어렵습니다. 일단 감기에 걸리고 나면 어쩔 도리가 없습니다.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지만 낫게 하기는 힘듭니다. 그래서 병원에 가면 일주일, 안가면 7일이면 낫는다고 농담을 하지요. | |
헐자리로 들어온 감기 기운 지압법으로 완화

서양의학에서는 감기를 바이러스의 침투로 봅니다. 바이러스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목도리만 잘 해도 예방이 가능합니다. 한의학에서는 나쁜 기운 또는 찬 기운이 들어와서 생긴다고 봅니다. 한의학은 감기 기운이 등 위 쪽의 풍문이라는 혈자리로 들어온다고 생각합니다. 말처럼 바람이 들어오는 문이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폐가 약한 사람은 찬 벽에 등을 대고 있기만 해도 코가 맹맹해집니다. 그럴 때는 등을 따뜻하게 하는 게 좋습니다.
감기 기운이 몸에 들어오면 지압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감기 기운이 경락을 따라 몸 깊숙한 곳으로 침투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 |
-
대추혈 문지르기
손가락으로 대추혈을 문질러 줍니다. 대추혈은 목을 앞으로
숙였을 때 목 뒤쪽 볼록 튀어난 뼈 바로 아래입니다.
[TIP] 대추혈 - 고개를 앞으로 숙였을 때
가장 높게 돌출되는 뼈 바로 밑 부분
-
풍지혈 누르기
엄지와 검지로 목 뒤쪽의 풍지혈을 누릅니다.
풍지는 감기 기운이 머무는 곳이라는 뜻입니다.
[TIP] 풍지혈 - 목 뒤 중앙에서 양쪽으로 약 1.5cm 떨어져
있는 약간 오목하게 된 곳
-
코 양끝 문지르기
양손 검지로 코 양끝을 3분 가량 문지릅니다.
3회 정도 반복 합니다.
-
합곡혈 누르기
합곡혈을 찌릿한 느낌이 날 정도로 1~2분 누릅니다.
[TIP] 합곡혈 - 엄지와 검지가 갈라진 뼈 사이 약간 움푹한 부분
-
엄지손가락 비벼주기
한 손 엄지를 다른 손으로 감싸고 비빕니다.
돌립니다.
- 글 권복기 한겨레 전문기자 / bokkie@hani.co.kr
- 한겨레신문 건강과 공동체 담당 기자로 <생활협동조합> <유기농산물 도농직거래> <귀농운동> <사회적 기업>
<개인교육> <마을 만들기> <통합의학> <생활수행> 등과 관련한 글을 쓰고 있다.
권복기 기자의 건강한 세상 http://community.hani.co.kr/
촬영협조 자생한방병원